SK이노베이션, 오는 16일 임시 주총 열고 배터리&석유개발 사업 물적 분할건 승인 계획
국민연금 ‘반대표’, 주주반발까지…달래기 나설까?

SK이노베이션 서산 배터리 공장.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서산 배터리 공장.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이 오는 16일 배터리 사업부와 석유개발 사업부의 물적 분할을 위한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가운데, 주주들의 들끓는 여론은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2대 주주인 국민연금까지 반대표를 행사할 것을 밝히면서, 반발을 잠재울만한 카드로 서로 윈윈할 수 있을지에 시선이 모인다.

이번 SK이노베이션 임시 주총의 안건은 정관 변경의 건과 분할계획서 승인 두 가지다. 분할계획서 승인에서는 SK이노베이션이 영위하는 사업 중 배터리 사업(이차전지, e-모빌리티, ESS사업)과 E&P사업(중국, 베트남, 리비아 관련 사업 및 LNG)의 분할 건을 다룬다.

주주들의 반발이 제기되는 것의 가장 큰 이유는 ‘물적 분할’이다.

특히 배터리 사업부의 경우 현재 크게 성장하는 상황이기에, 이를 보고 투자한 이들의 주주가치가 희석됨을 우려하는 것이다. 이날 반대 의견을 밝힌 국민연금 또한 “분할계획의 취지와 목적은 공감하지만, 핵심 사업인 배터리 사업 등의 비상장화로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있다”며, 입장을 설명했다.

같은 날 경제개혁연대(이하 연대)도 SK이노베이션의 이번 분할이 그룹이 내세우는 ESG 경영과는 상반된 내용을 담고 있다며 반대 의견을 전했다. 연대는 “주주들은 배터리 사업부문 분사가 실질적인 지분가치의 하락을 가져온다는 이유로 크게 반발하고 있지만, 향후 SK배터리가 상장될 경우 더 큰 주주가치 훼손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반발에도 SK이노베이션이 인적분할이 아닌 물적 분할을 택한 것에는 ‘투자금 확보’ 명목이 크다는 분석이다. 급격하게 성장하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규모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투자금 규모가 중요한 과제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생산량 증가와 연구개발(R&D)을 통한 기술력 확보를 위해 자금 수혈은 필수 불가결해진 상황이다. 앞서 지난 7월 SK이노베이션은 공정공시를 통해 향후 5년간 총 30조원을 투자하는 중장기 투자계획을 밝힌 바 있다.

특히 배터리 사업의 경우 2025년 생산규모 200GWh를 달성하고 이후 2030년에는 500GWh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 2025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2조50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를 이루기 위해 SK이노베이션은 발표한 30조원 중 18조원을 투자한다. 연간 약 3조6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번 배터리 사업부의 분사를 통한 자금 수혈이 필요해지는 이유다.

국민연금의 반대표와 더불의 주주들의 반발을 잠재워야 한다는 선행 과제가 있지만, 이번 분할계획서 승인은 통과될 것이라고 보는 관측이 많다. 물적 분할은 주총 잠석 주주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 찬성, 발행주식 총수 3분의 1 이상 찬성 시 의결된다.

앞서 지난해 10월 LG화학의 분할 건 또한 국민연금의 반대에도 82.3%의 찬성률로 통과한 바 있다. SK이노베이션의 의결권 자문사들 또한 분할에 찬성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향후 ‘주주 달래기’를 위해 SK이노베이션이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은 펼칠 것으로 보인다. 분할계획서 승인 외 정관 변경에 관한 건 중 배당 부분의 변경이 그것이다. 신설되는 이익배당 부분과 기존의 중간배당 부분에서 SK이노베이션은 금전 외 주식 및 기타의 재산으로 할 수 있는 조항을 명시했다.

이는 향후 신설되는 SK배터리(이하 가칭)와 SK이엔피의 주식을 기존 주주들에 배당할 수 있는 길을 터놓은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주주환원책의 일환으로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및 신설회사의 주식을 주주들에게 나눠줄 수 있는 것이다.

해당 건들을 다루는 SK이노베이션의 임시 주총은 오는 16일 오전 10시 진행된다. 분할 안건이 통과되면 SK이노베이션은 신설회사의 지분 100%를 각각 가지게 되며, 자산과 채무 등도 신설회사로 이전된다. 각 신설회사의 분할 기일은 내달 1일로 예정됐다.

파이낸셜투데이 정진성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