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보고서, 2040년 기준 태양광 발전량 1위 예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탄소중립(넷제로)을 목표로 주요 국가에서 정책을 강화하고 그린에너지로의 전환이 각 산업군에서 본격화하는 가운데 태양광이 신흥 에너지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 삼정KPMG가 발간한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지난해 전체 에너지 수요가 전년비 5.3% 감소한 가운데 유일하게 재생에너지 수요만 0.9% 증가했고, 이 중 태양광이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9년부터 2040년까지 석탄 발전량은 864TWh 감소하는 반면 태양광은 4,813Twh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2040년까지 발전량이 가장 많이 증가할 에너지원으로 태양광을 꼽았다.

보고서는 태양광 논의는 예전부터 지속돼 왔으나 현실성이 ‘가격’과 ‘정책’이라는 양쪽 축에서 모두 구체화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고 봤다.

국가별 태양광 시장동향을 살펴보면, 선두주자인 중국은 전세계 태양광 설비용량의 3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태양광 시장은 코로나19로 2020년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거대 내수시장과 강력한 정부 정책으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미국은 가정용 태양광 증가와 신재생공급의무화제도(RPS) 비율이 커지면서 코로나19 타격에서 벗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월부터 신규 건설주택에 태양광 설치를 의무화한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가정용 태양광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네바다주가 최근 RPS를 2050년까지 100%로 상향 조정한다고 선언하면서 전력의 절반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주가 13개로 늘었다.

일본 태양광 시장은 보조금을 통한 확산을 넘어 자율경쟁으로 돌입했다. 독일을 포함한 유럽과 기타지역들도 탄소국경세 도입으로 태양광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이외 태양광 주도 재생에너지 정책이 활발한 국가로 스페인, 인도, 베트남, 호주, 이스라엘이 꼽혔다. 이들 국가의 태양광 정책은 장기적으로 방향성이 명확하고 체계적인 것이 특징이다.

보고서는 태양광 산업의 밸류체인을 3단계(업스트림/미드스트림/다운스트림)로 구분하고, 밸류체인별 기회와 위협 요인을 분석한 내용도 담았다.

업스트림 단계는 원료인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고 녹여 잉곳, 웨이퍼와 같은 소재·부품을 생산하는 과정이다. 미드스트림 단계에서는 태양전지와 모듈을 생산하고 다운스트림 단계에서는 발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전기를 판매한다.

업스트림 단계에서 생산되는 원료인 폴리실리콘이 지난 몇 년간 중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과잉이 발생했다.

보고서는 중국 기업의 저가공세로 국내 기업들은 2020년 연달아 폴리실리콘 사업을 철수했으며 잉곳·웨이퍼의 채산성도 중국에 밀리고 있는 상황으로 봤다.

[삼정KPMG 보고서인용]
[삼정KPMG 보고서인용]

미드스트림 단계에서 생산되는 태양전지는 2020년 상반기 유일하게 전년동기비 수출이 증가했고 가정용 태양광 수요가 이를 견인하고 있었다.

모듈 부문은 다른 태양광 밸류체인에 비해 수출국 다각화가 뚜렷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중국산 모듈에 부과되는 관세로 인해 미국시장에서는 국내 기업의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국내 태양광 기업은 태양전지, 모듈 등 부품 생산기업을 넘어 재생에너지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해외 태양광 발전소 EPC(설계/조달/시공) 비즈니스를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는 “해외시장이 원가가 상대적으로 적고 전력 판매가 자유화돼 있어 국내 기업이 해외 태양광 다운스트림 비즈니스에 주목하고 있다”며 “미국 워싱턴주, 독일 등과 같이 전력시장 자유화 지역의 경우 소비자가 직접 발전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사업자는 다양한 요금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정KPMG 제조산업본부장 변영훈 부대표는 “중국은 현재 자국 기업에게 독자적인 경쟁우위를 제공하고 있어 해외업체가 진출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국내 태양광 기업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을 위해 미드스트림 부문에서 차세대 기술이 접목된 고품질 태양전지 생산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비즈뉴스(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