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태양광발전이 지난해에도 정부의 목표치 이상인 4GW를 초과한 규모가 설치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벌써 1GW를 넘긴 상황인 반면 풍력의 경우 매년 극소수의 보급량만 달성하고 있어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큰 기여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육상풍력과 해상풍력 모두 태양광과 같이 정기적으로 대규모 설치가 진행되기 위해선 현재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 중인 계획입지제도가 선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공개한 올해 1분기 신재생에너지 신규 보급용량 집계에 따르면 △태양광 1,017MW △풍력 25MW로 총 1,042MW 규모가 설치된 상황이다.

이번 집계기준은 완공 이후 REC를 발급받기 위한 상업가동을 개시한 시점으로 RPS(사업용) 및 공단 보급사업(자가용) 실적 기준이며 1분기 태양광은 전체 보급량 중 97%를 차지하고 있다.

매년 급속도의 태양광 설치 확대는 올해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REC 가격 하락 등 각종 리스크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대기업뿐만 아니라 발전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수많은 중소기업들의 태양광분야 접근이 매년 이어지고 있는 경향이 큰 상황이다.

실제 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신재생에너지 보급량은 총 4,954.6MW로 2019년 3,543.8MW대비 39%인 1,410.8MW 규모가 확대되는 등 5GW에 가까운 보급량을 달성하고 있다. 이 중 태양광은 4,126.2MW로 2019년 3,130MW대비 32%인 996.2MW가 확대됐으며 풍력은 242.2MW로 2019년 150.3MW대비 61%인 91.9MW가 확대된 상황이다.

수력·바이오·폐기물 등 기타분야의 경우 586.2MW로 2019년 263.3MW대비 123%인 322.9MW나 늘어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올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도 역대 최고치를 달성해나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2050년까지 풍력·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의 국제 캠페인인 RE100과 범국가적이면서 글로벌적인 탄소중립 실현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종 제도 등이 본격 시행되고 있어 기업들의 관련분야 투자도 확대될 전망이다.

이렇게 태양광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는 반면 풍력의 경우 아직까지 활성화 분위기를 이끌어내지 못한 산업의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해 올해 1분기 설치량이 적은 상황이다.

특히 정부나 지자체가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풍력에너지를 전격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지만 이외에 각 기업별로 신규로 착공에 들어간 풍력발전단지가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2021년에도 큰 폭의 성장세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단지가 완공되는 시점이 1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올해부터 적극적으로 육상 및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해나가는 흐름이 진행되지 않으면 이런 암울한 분위기는 2022년도 이후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최근 정부와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국내 에너지전환의 핵심으로 해상풍력발전이 주목받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풍력발전단지 착공이 국내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당분간 국내 풍력기업들의 지속적인 단지 확대를 위한 투자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도 있는 시점이다.

또한 정부나 지자체가 진행 중인 해상풍력발전단지의 경우 최소 2022년은 돼야 단지별 착공이 시작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 이외에 각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발전단지를 정기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사업진행을 진행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향후 해상풍력사업에서 국내 제조기업들이 해외기업들에게 시장을 내주지 않기 위해선 매년 지속적으로 설치가 확대돼야 하는데 각종 풍력사업계획이 인허가 등 절차과정에서 불필요한 이유로 지연되는 상황이 여전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형태로 사업계획을 설립하는 등 총체적인 풍력사업설계의 흐름이 바뀌어가는 시점임에도 이런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앞으로도 풍력산업이 쉽게 성장하긴 어렵다는 우려로 이어진다.

즉 정부와 지자체, 지역주민들이 모두 만족할 경우 사업이 원스톱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여건을 최대한 빨리 구축해야 국내 풍력산업의 활성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으며 해외에 밀리고 있는 국내 관련 제조산업의 성장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풍력기업의 관계자는 “풍력은 육상풍력을 기준으로 최소 20MW 이상 규모로 발전단지를 조성해야 수지타산이 남기 때문에 이보다 더 소규모로 진행하기는 어려우며 기본적으로 규모를 크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선 지역주민과의 이익공유방안 등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사항이 많고 터빈 및 타워의 제조 외에도 자재운송, 설치 등 관련된 기업들과의 컨소시업체제 구성도 필요하기 때문에 준비단계에서 시간도 많이 걸린다”라며 “이에 매분기마다 정기적으로 특정기업이 설치를 완료해나가기는 어려운 부분이 상시 존재하며 설계, 입지확보, 전문기업 컨소시엄 구성 등에서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연간이나 분기로 풍력 보급이 많이 확대되기 위해선 현재 정부, 지자체 등이 추진하는 대규모 계획입지제도가 선도적으로 많이 진행되면서 자리를 잡아갈 필요성이 높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